솔라리스 /dev/rmt/0 과 /dev/rmt/0n 의 차이점

/dev/rmt/0n 하면 n 옵션에 따라 no rewind 가 맞습니다. 
이 n 옵션을 사용했을 경우와 안했을 경우는 백업을 다 받고 나서 tape 의 상태 차이입니다. 
n 이 있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도 rewind 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해 했있고, 
n 이 없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 자동으로 rewind 하게 됩니다. 

하지만 no rewind 로 했을 지라도 테잎을 빼내게 되면 backup drive 는 테잎을 그냥 그 위치에서 빼는게 아니라 맨 처음으로 감은 다음 테잎을 eject 시킴. 

테잎을 뺏다가 다시 넣어서 예전에 받았던 다음 부분부터 backup 을 받으려면 테잎을 수동으로 앞으로 감아줘야 함. 

# mt -f /dev/rmt/0n fsf 2 

이런 식으로 말이죠... 

반대로 다시 뒤으로 감을때는 bsf 입니다. 

fsf 는 forward space 의 약자고, bsf 는 back space 의 약자 입니다. 

뒤에 오는 숫자는 space over count 숫자인데 이것은 개념을 테잎에 어떻게 백업이 되는 것인지 잘 파악을 하셔야 합니다. 

뒤로 한칸 감을 경우에는 1이 아닌 2 를 써야 합니다. 왜냐 하면 기준점은 0이지만 현재 기준점을 1로 먹고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한칸 감을 경우에는 1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현재 기준점이 0 이기 때문입니다. 

직접 해보면 잘 알수 있을 것입니다. 

테잎의 위지 정보는 mt -f /dev/rmt/0n stat 로 확인하시면 되구요. 

예를 들면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mt -f /dev/rmt/0n stat 
HP DDS-3 4MM DAT tape drive: 
sense key (0x0)= No Additional Sense residual=0 rerties=0 
file no= 1 block no=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