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piedia 에 정의된 의미로 extract(추출), transform(변환), load(적재) 의 앞 글자를 따서 ETL이라고 한다. 컴퓨팅에서 데이터베이스 이용의 한 과정으로 특히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많이 찾아 볼수 있다고 한다. - 같은 기종 또는 다른 기종의 데이터 소스로 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 - 조회 또는 분석을 목적으로 적절한 포맷이나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변환과정을 거친다. - 최종 타켓 대상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적재한다. 참고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추출,_변환,_적재 추출, 변환, 적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통적인 ETL 다이어그램[1] 추출, 변환, 적재(Extract, tran..
2월에 페이스북을 통해서 이런 이벤트가 있는것을 처음 알았다~^^ 일년동안 한달에 책을 한권씩 읽을수 있는 기회를 주신다는~~ 물론, 매달 책한권이 힘들수도 있지만, 좋은 기회일거 같아서 신청 고고고!!! 오~! 당첨이 되었다 ㅎㅎ 올해는 뭔가 좋은 일들만 생기는지~^^ 한달마다 랜덤으로 선택한 책중에 한권을 보내주시면 읽고 2주안에 서평을 써야 한다! 도전!!! 한번 해보자~~~~^_^ 얼른 코로나19도 좀 사그라들었음 좋겠다~~ㅠ #한빛미디어 #나는리뷰어다 #나는리뷰어다2020 #이벤트당첨 #올해도전과제 #책리뷰 #독서 #한달에힌권
페이스북을 통해 프리렉에서 하는 이벤트에 응모를 했는데, 정말 좋은 기회가 되서 선물로 받게 되었다! 와우! 나에게도 이런 일이..!!^^v 이런 이벤트는 잘 안되었는데, 이번에 이렇게 된걸 보면 뭔가 나에게 필요한 책이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으로 책을 받게 되었다. 업무로 인해 완독은 못하고 읽고 있는 중이다. 얼른 읽어야겠다.ㅎㅎ 이책은 요즘 정말 핫한 스프링 부트에 대한 내용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개발에서 배포까지의 그림을 그려주고, 조언해 주는 책같습니다. 전체적으로 이 책을 읽고 따라 하고 나면 무언가 내가 만들어 봤구나! 단 웹 한페이지라도 직접 해서 배포까지 해본다는건 큰 경험일거 같습니다. 특히나 AWS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조금은 경험해 볼수 있게 해줍니다. 처음 접하는 스프링 부트 ..
# Google Cloud Platform 한국 리전이 드디어 생기게 되었다. # 그러면서 기존 결제 계정에 대해 원화 단위로 계정 이전을 해야 한다는 메일이 왔다.!! # 메일 안에 결제 계정에 링크를 누른 후 다음 진행을 해도 된다고 한다. # 다른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찾아 가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https://support.google.com/cloud/answer/7523192?hl=ko 계정 이전 FAQ - Google Cloud Platform Consol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일반 FAQ Q. 계정을 이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계정을 이전하려면 결제 계정 이전 페이지(http://console.cl..
# master node 2대를 추가해 H.A 구성을 해보자. [ 방법 ] 1. 트래픽을 받도록 load balancer로 배포한다. HAProxy는 배포가 쉬운편이다. start하여 현재 동작중인 master node를 확인한다. 2. k8smaster2,3번 노드에 kubernetes software를 설치한다. (이 과정은 기존 worker node를 이미지 떠서 만들면 더 편할 듯하다.) 3. k8smaster2번을 master node에 join 한다. 기존에 worker node 추가때 사용하던 kubeadm join 으로 부터 추가적으로 hash와 flag가 필요할 것이다. 4. k8smaster3번을 master node에 join 한다. 5. haproxy에 3개의 master를 사용하도..
Kubernetes 클러스터는 사용자의 유형으로 service accoount와 normal users 가 있지만 normal users는 외부 서비스에 의해 관리된다. normal users를 나타낼 개체가 없고, 또한 API 호출을 통해 추가할 수도 없다. 하지만 service account를 추가할 수 있다. RBAC을 사용하여 개발자 devJang을 위한 네임스페이스 내의 행동에 대한 접근을 테스트해 본다.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 두개의 테스트용 dev, prod namespace를 생성한다. # dev, prod의 두개 namespace를 생성한다. ps0107@k8smaster1:~$ kubectl create ns dev namespace/dev crea..
# Working with TLS # 마스터 노드와 보조 노드 모두에서 kubelet 을 보자 . # kube-apiserver 는 cerificates 과 authorization mode와 같은 보안 정보를 보여준다. # kubelet 은 systemd 서비스이므로 아래와 같이 상태를 볼수 있다. # 아래 CGroup 정보에 보면 설정 파일들이 어디에 있는지 알수 있다. ps0107@k8smaster1:~$ systemctl status kubelet.service ● kubelet.service - kubelet: The Kubernetes Node Agent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kubelet.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