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S - runlevel 3에서 구동 (/etc/rc3.d/S15nfs server) Server client ---------------- --------------------- Cdrom 있을때 cdrom 없을때 ---------------- ---------------------- 1. cdrom을 nfs로 공유 하면 client에서 공유해서 사용할수 있다. sun장비가 요즘에 cdrom은 옵션이기때문에 안달려 있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etc/rc3.d/S15nfs.server start # vi /etc/dfs/dfstab 이파일을 통해서 이내용들을 공유하겠다. share -F nfs -o ro -d "nfs test" /mbc #shareall # ps -ef | grep nfs nfsd mo..
showrev -p | grep 118558 현재시스템의 설정된 패치정보 전체를 볼수 있다. ###################################### ok>printenv 지금현재 설정된 파라미터 값 출력 output-device screen sxreen으로 잡혀있어야 모니터화면데 뜸 input-device keyboard ok>printenv input-device(특정파라미터name) ok>setenv input-device keyboard 키보드로 변경(ok모드상에서 변경) ok>reset 이걸쳐준다음 리부팅후 적용됨. 꼭 빼먹으면 안됨 #eeprom input-device=keyboard (OS상에서 변경방법) #eeprom | grep input-device ok>setenv out..
hostname변경방법1. /etc/hosts 59.5.100.43 monster 2. /etc/hostname.hme0 [pcn0] sun02 -> monster 3. /etc/nodename sun02->monster 4. /etc/net/ticlts/hosts 5. /etc/net/ticots/hosts 6. /etc/net/ticotsord/hosts reboot -- -r 재부팅시 #sync #sync #sync #reboot -- -r /etc/default/login #으로 막아줌 #CONSOLE=/dev/console /etc/ftpd/ftpusers - solaris8 /etc/ftpusers - solaris9 root앞에 #으로 막아줌#ps -ef | grep inetd #kill -..
sar 1 10 cpu사용률 체크 /bin 물리적 디스크 ---------------------------- 연습과제> 1. 계정추가 계정 : ysw500 $HOME:/export/home/ysw500 test1 file 생성후 hardlink 걸어서 test2 file 생성 test2 file 을 symboliclink 걸어서 test3 file 생성 최근 1일 동안 수정된 file을 찾아서 test4 file 로 저장 setgid 걸린 file을 찾아서 test4 file로 저장 $HOME /sample/ directory 생성 /mbc/ysw 를 원본으로 symboliclink2.$HOME/ test5 라는 1m짜리 파일 생성후 swap 추가 /mbc에 있는 vfstab이라는 파일을 $HOME 으로..
1. 테이프드라이브에 메세지를 보낸다. 2. TAPE환경 변수에 설정된 TAPE드라이브에 메세지를 전달하며,TAPE환경변수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다른 TAPE드라이브에 메시지를 전달하려면 -f 옵션을 사용. 3. TAPE의 위치 조정이나, 되감기 등이 가능하다. fsf # TAPE를 앞쪽으로 skip bsf # TAPE를 뒤로 skip (1/2"테이프드라이브만 가능) rewind TAPE를 되감는다. offline TAPE를 되감고 unit를 offline 시킨다. status TAPE UNIT의 현재 상태및 다른 정보를 보여준다. 예) 디폴트 테잎드라이브 설정 #setenv TAPE /dev/nrst5 #mt command 특정 DRIVE에서의 메세지 전달 #mt -f /dev/nrst5 co..
/dev/bd.off error. 부팅시 에러 메시지와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dev/bd.off: not a serial device. bdconfig: no serial device configured. Run bdconfig interactively (no args). OK> boot -s # ls -l /dev/bd* # rm -f /dev/bd.off # bdconfig off (y/n ?) y (y/n ?) y (/dev/term/a or b) /dev/term/a /var/crash full # dumpadm # rm -rf /var/crash/[hostname] Solaris 관련 상세한 Admin 정보는 HowtoSolaris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showrev -p # patc..
/dev/rmt/0n 하면 n 옵션에 따라 no rewind 가 맞습니다. 이 n 옵션을 사용했을 경우와 안했을 경우는 백업을 다 받고 나서 tape 의 상태 차이입니다. n 이 있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도 rewind 하지 않고 그 위치에 정지해 했있고, n 이 없는 경우 백업을 다 받고 나서 자동으로 rewind 하게 됩니다. 하지만 no rewind 로 했을 지라도 테잎을 빼내게 되면 backup drive 는 테잎을 그냥 그 위치에서 빼는게 아니라 맨 처음으로 감은 다음 테잎을 eject 시킴. 테잎을 뺏다가 다시 넣어서 예전에 받았던 다음 부분부터 backup 을 받으려면 테잎을 수동으로 앞으로 감아줘야 함. # mt -f /dev/rmt/0n fsf 2 이런 식으로 말이죠... 반대로 다..
솔라리스에서 백업테이프 작동명령어 mt 명령어 입니다.. Rewind : mt -f /dev/rmt/0n rewind 상태보기 : mt -f /dev/rmt/0n status 꺼내기 : mt -f /dev/rmt/0n offline 늘어진테이프팽팽히하기 : mt -f /dev/rmt/0n retention 앞으로 한블록 : mt -f /dev/rmt/0n fsf 1 테이프 전부 삭제 : mt -f /dev/rmt/0 erase 위의 0 다음의 n은 no rewind 의 의미이며 안 붙여도 됩니다..
나중에 추가 하면 첨 추가 한것보다 성능이 떨어짐 #df -k 공간 확인#mkfile 10m /data/swap_add 자기 계정에 mkfile로 추가 #swap -l 스왑이 어떻게 잡혀져있는지 확인 #swap -a [절대경로] #swap -l#vi /etc/vfstab 절대경로 - - swap - no - 추가#swap -d [절대경로] 스왑삭제
1. /etc/hosts 58.5.100.43 monster 2. /etc/hostname.hme0 [pcn0-일반 pc에 vmware 설치시중 하나..] sun02 -> monster 3. /etc/nodename sun02->monster 4. /etc/net/ticlts/hosts 5. /etc/net/ticots/hosts 6. /etc/net/ticotsord/hosts reboot -- -r cf) 재부팅시 #sync #sync #sync #reboot -- -r
1. /etc/hosts ex) 58.5.100.43 sun01 loghost 아이피와 호스트 네임을 매칭을 시키는 파일로써 학원 아이피를 sun02로 매칭 시키고 log기록을 남기고 싶은 호스트 네임이면 호스트네임뒤에 loghost라고 써줌 2. /etc/defaultrouter 게이트 웨이 주소가 들어감 58.5.100.254 3. /etc/netmasks 네트웍주소 서브넷마스크 58.5.100.0 255.255.255.0 4. /etc/rosolv.conf nameserver 168.126.63.1 domain ns.kornet.co.kr 5. /etc/nsswitch.conf hosts files (tab) dns #route add default 59.5.100.254 (자동으로 설정)
sun 키보드 에서 : stop + a 키를 눌러 ok>모드로 들어감 ok> boot cdrom 씨디롬을 통해서 부팅 disk(default값일때) F2로 거의 계속 넘어감 *파티션은 수동 설정 파티션 나눌때 설치 도중 swap을 잡아줄때는 메모리의 2배로 잡아줌 Tip) 설치 도중 메모리를 모르고 설치 했을 때,,,빈곳에 오른쪽 마우스 버튼 꾹 누르고 있다가 terminal 로 들어가서 메모리를 알아냄 # prtdiag | more (하드웨어정보) memory size를 알아냄 예를 들어, 1G일때 swap은 2G로 잡아줌
*솔라리스 참고 사이트 http://www.sun.comhttp://www.sun.co.krhttp://docs.sun.com ->거의 모든 문서 수록http://sunsolove.sun.com ->자주 들어가게 될 사이트http://howtosolaris.comhttp://solarisschool.com
▒ DATABASEDBMS - 계층형, 네트워크형, 관계형(RDBMS)RDBMS(관계형 DBMS) - oracle, mysql, mssql, DB2 (가장 널리 상용화된 모델) ① 데이터 중복 최소화 ② 데이터 일관성 ③ 보안 ④ 공유 - 논리적인 구조, 물리적인 구조 설계가 어렵다. - 관리가 어려움 (복구, 백업) - 한쪽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에 문제가 발생된다. ==> 이런 부분은 DBA의 업무 ▒ DATABASE 연결 [user 들] -----------------------> [Web] ----------------------> [DBserver] WAS서버(web application server) [user 들] ----------------------->[application]----..